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수시로 대학 1.28년도부터 교육과정 바뀐다고하던데 어떻게 바뀌는건가요?2.고교학점제는 정확히무엇인가요?3.수시로 대학을 가려면 1등급이 몇개있고

1.28년도부터 교육과정 바뀐다고하던데 어떻게 바뀌는건가요?2.고교학점제는 정확히무엇인가요?3.수시로 대학을 가려면 1등급이 몇개있고 나머지과목 등급 낮은것(134143)과 전부다 2,3등급 인것(232232)중 뭐가 더 낫나요?

1. 2028년부터 바뀌는 교육과정에 대해서...

2028년 대학입시 제도 변화의 핵심은 고교학점제통합형 수능 도입입니다.

  • 고교학점제: 학생이 진로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는 제도입니다.

  • 대학처럼 교실을 이동하며 수업을 듣고, 일정 학점을 취득해야 졸업 가능합니다.

  • 2025년부터 단계적 도입 후 2028년 본격 적용 예정입니다.

  • 통합형 수능: 기존 문·이과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이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를 응시해야 합니다.

  • 이과 수학(미적분, 기하, 확통)과 과학탐구는 내신에서 더 중요해질 전망입니다(수능에서 제외, 대학은 내신으로 평가).

2. 고교학점제의 핵심 특징

  • 학생 선택권 확대: 공통과목(국어, 수학, 영어 등) 외에 심화과목, 진로과목, 교양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합니다.

  • 학습량 증가: 과목별 심화 내용으로 인해 학업 부담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 내신의 중요성 상승: 수능에서 변별력이 약화되면 학생부(내신)와 비교과 활동이 당락을 좌우할 가능성이 큽니다.

3. 수시 전형에서 등급 분포 비교

수시 전형은 대학별·전형별로 평가 기준이 달라 단순 등급만으로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 1등급 N개 + 3,4등급

  • 장점: 특정 과목에서 뛰어난 역량을 보여줄 수 있어 교과 전형에서 유리합니다.

  • 단점: 다른 과목의 낮은 등급이 전체적인 학업 역량 평가에서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모든 과목 2,3등급

  • 장점: 종합전형에서 균형 잡힌 성적과 다양한 활동을 강조하기 좋습니다.

  • 단점: 최상위권 경쟁에서 1등급 보유자에 비해 불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