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생기부 세특 교육학이라는 별로 안중요한과목 같은데 세특 안 챙겨도 될까요?내신은 2점대입니다

교육학이라는 별로 안중요한과목 같은데 세특 안 챙겨도 될까요?내신은 2점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교육학 세특도 가능하면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교육학 세특, 안 챙겨도 될까?

수시 전형(특히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모든 과목의 세특이 평가 대상입니다. 다만, 내신 2점대이고 해당 과목이 지원 전공과 큰 관련이 없다면 상대적으로 중요도는 낮을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세특이 아예 없을 경우, 평가자가 성실성, 수업 참여도, 탐구역량 등을 판단할 수 없어 감점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챙기는 게 좋은 이유 3가지

1. 세특의 유무는 ‘수업 참여도’로 간주됩니다.

→ 아예 세특이 없으면, "이 학생은 수업에 별로 관심 없었나 보다"라고 해석될 수 있어요.

2. 모든 과목 세특이 고르게 적혀 있어야 학생부 완성도가 높아 보입니다. → 전체적으로 부실하지 않다는 인상을 줘요.

3. 교과세특 한 줄도 면접소재가 될 수 있습니다.

✅ 이런 경우라면 적극적으로 챙기세요

1. 교육 관련 전공(교육학과, 사범대, 유아교육과 등)을 희망하는 경우

2. 교직 이수에 관심이 있는 경우

3. 내신이 낮지만 학생부 종합전형을 고려하고 있는 경우

✅ 그래도 시간이 부족하거나 여건이 안 된다면?

최소한 1~2줄 정도라도 수업 참여, 과제 수행, 소감 중심으로 담아두세요.

예: “○○ 주제를 바탕으로 교육제도의 장단점에 대해 조사하고 토의함.”

응원합니다!

– 스마트개미학습코치 드림

image
고2 생기부 차별화 전략! 동아리·탐구활동을 돋보이게 쓰는 법

고2 생기부 차별화 전략!동아리·탐구활동을 돋보이게 쓰는 법 고2 생기부는 말 그대로 ‘중심축’이에요.고1에서 살짝 드러났던 흥미가고2에 와서 구체적인 활동으로 연결되고,그 흐름이 고3에서는 평가의 기준이 되니까요!특히 동아리활동이나 탐구활동은단순히 참여한 것 이상의 ‘주도성’과 ‘진로 연결성’을 보여줄 수 있는 항목이에요.근데 문제는,그냥 “탐구를 했다”, “동아리를 운영했다” 정도로만 쓰면평범한 기록으로 끝나버린다는 거예요 ㅠㅠ그래서 이번에는✔️ 고2 생기부에서 입학사정관이 눈여겨보는 포인트✔️ 동아리 & 탐구를 '진로 맥락 속...

toyjjang999.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