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1973년도 워싱턴포스트의 내재가치 계산 법 워런버핏의 책을 읽다가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글 남겨봅니다.데이터시총 : 8000만달러순이익

워런버핏의 책을 읽다가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글 남겨봅니다.데이터시총 : 8000만달러순이익 : 1330만달러감가상각비 및 분할상환금 : 370만달러자본지출 : 660만 달러미국 장기 국채 수익률 : 6.81퍼센트실질가격을 3% 올릴 수 있다고 가정현재 세전 마진이 10퍼센트이지만 15퍼센트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고 가정기업의 내재가치오너어닝 = 1330+370-660=1040만달러미래가치를 현재 가치로 계산 = [1040×(1+0.03)]/(0.0681-0.03)=약 3억5000만 달러현재가치 = ???? = 1억3500만 달러(세전 마진을 15퍼센트로 개선했을 때 가치)총 내재가치 = 미래가치를 현재 가치로 계산+현재가치 = 약 4억8500만달러제가 궁금한 부분은 세전마진을 10퍼센트에서 15퍼센트로 개선했을 때 현재 가치가 1억3500만 달러가 되는 근거를 모르겠습니다.아시는분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네이버정식등록업체 지식iN 소액결제, 콘텐츠이용료(정보이용료), 상품권 등

업계 1위 상담사 달콤페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질문하신 ‘세전마진을 10%에서 15%로 개선했을 때 현재가치가 1억3500만 달러가 되는 근거’는 워런 버핏식 내재가치 계산법에서 주요 변수인 이익 규모의 변화와 할인율, 성장률에 따른 가치 재평가 결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데이터와 계산을 기반으로 보면:

오너 어닝(세전 이익 - 투자 및 감가상각을 반영한 순현금영업이익)이 1,040만 달러로 산출되었고,

미래가치는 성장률 3%를 적용해

1

,

040

×

(

1

+

0.03

)

0.0681

0.03

3

5

,

000

0.0681−0.03

1,040×(1+0.03)

≈3억5,000만 달러로 계산했습니다.

이때 세전 마진이 10%일 때의 현재 이익 수준 대비 15%로 개선 시 이익 수치가 상승하므로 고정 이익이나 프리캐시 플로우(잉여현금흐름)가 증가합니다. 워런 버핏은 현재가치를 현금흐름과 투자비용 차액으로 산출하고, 이익이 상승하면 현재가치도 커집니다.

따라서 1억3500만 달러라는 현재가치는,

세전 마진이 15%로 개선되어 증가한 이익을 기본으로,

성장 가능성 및 할인율을 반영해 산출한 현재의 영업이익 및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로 보입니다.

구체적인 공식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보통 워런 버핏 내재가치 계산은 “현재 영업 이익과 잉여현금흐름”을 바탕으로 성장률과 할인율을 감안해 계산하는 형태입니다.

즉,

마진 개선으로 추가로 발생하는 이익이 앞으로 기업가치에 반영되어 현재가치가 상승한 구조이며,

1억3500만 달러는 마진 개선 효과를 포함한 현재가치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더 쉽게 설명하면, 10% 수익을 낼 때보다 15% 수익을 낼 때의 현금흐름 크기가 커져 그만큼 현재가치가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더 자세한 워런 버핏 내재가치 계산법과 사례를 참고하면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필요하면 수식을 적용한 상세 예시도 안내해 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