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의 정책'과 같은 일반적이고 변하지 않는 사실이나 규칙을 설명할 때는 현재 시제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 문법적 해설
* 시제 (Tense): 현재 시제를 쓰는 이유
이 문장에서 "This policy" (이 정책)는 특정 한순간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효력을 갖는 회사의 규칙입니다. 이처럼 일반적인 사실, 불변의 진리, 반복되는 습관이나 규칙을 나타낼 때는 단순 현재 시제를 사용합니다.
* 예시: The sun rises in the east. (해는 동쪽에서 뜬다. - 불변의 진리)
* 예시: The store opens at 9 AM. (그 가게는 오전 9시에 연다. - 반복되는 규칙)
마찬가지로, 이메일에 언급된 경비 처리 정책도 어제나 오늘만이 아니라 **항상 유효한 회사의 규칙(general fact)**이므로 단순 현재 시제를 쓰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 수일치 (Subject-Verb Agreement)
문장의 주어는 **"This policy"**로, 3인칭 단수입니다. 현재 시제에서 주어가 3인칭 단수일 경우, 동사 뒤에 '-s'나 '-es'를 붙여야 합니다.
* (A) applies (O) - 3인칭 단수형
* (B) apply (X) - 주어가 복수(policies)이거나 I/you/we/they일 때 사용
* (C) is applying (X) - '지금 적용하고 있는 중이다'라는 뜻으로, 일시적인 상황에 사용합니다. 정책은 계속 유효한 것이므로 어색합니다.
* (D) had applied (X) - 과거의 특정 시점보다 더 이전에 적용되었다는 뜻으로, 문맥에 맞지 않습니다.
## '적용된다'와 'applies'의 관계 (핵심)
질문자님께서 헷갈리시는 부분이 바로 이 지점입니다. 한국어로는 "정책이 적용된다"라고 해서 수동태(is applied)처럼 느껴지기 때문이죠.
하지만 영어 동사 apply는 그 자체로 **"~에 해당하다, 적용되다"**라는 의미의 자동사로 쓰일 수 있습니다. 즉, 주어가 직접 행위를 하는 능동태 형태로 쓰여도 수동의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 This policy applies to ~ : 이 정책은 ~에 적용된다/해당한다. (가장 자연스럽고 일반적인 표현)
* This policy is applied to ~ : 이 정책은 ~에 적용된다. (문법적으로 틀리진 않지만, 누군가에 의해 정책이 집행되는 행위를 강조하는 느낌이 있어 위 표현보다 덜 사용됩니다.)
"이 열쇠는 그 문에 맞는다"를 영어로 "This key fits the door"라고 하지 "This key is fitted to the door"라고 하지 않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따라서 한국어 해석이 '적용된다'라고 해서 항상 수동태(be + p.p.)를 써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 문장에서는 능동태인 applies를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 문장 전체 해석
Please remember that when you submit a request for travel reimbursement, it must include detailed receipts of your purchases. This policy (15) applies to expenses for meals, hotel, flights, ground transportation, and others.
해석:
여비 정산 요청서를 제출하실 때 구매에 대한 상세한 영수증을 포함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 주십시오. 이 정책은 식사, 호텔, 항공편, 지상 교통 및 기타 비용에 적용됩니다.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