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공기업 신입사원(채용형인턴)입니다. 공기업 채용 관련해서 신입사원(채용형인턴)이라는 글이 많이 보이는데 이게 신인사원과 채용형인턴을

공기업 채용 관련해서 신입사원(채용형인턴)이라는 글이 많이 보이는데 이게 신인사원과 채용형인턴을 각각 구하는건가요?아니면 채용형인턴하고 신입사원으로 뽑는건가요?공고를 읽어봐도 헷갈리네요..감사합니다.

공기업 채용에서 "신입사원"과 "채용형 인턴"은 다르게 구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각의 의미와 관계를 정리해 드릴게요.

1. 채용형 인턴이란?

  • 채용형 인턴은 인턴 기간 동안 업무 수행 능력과 회사 적응력을 평가받고, 인턴 종료 후 정규직 신입사원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는 인턴십입니다.

  • 보통 인턴십 기간은 2~7개월 정도이며, 인턴 평가 결과에 따라 정규직 전환 여부가 결정됩니다.

  • 즉, 처음부터 정규직 신입사원으로 바로 뽑는 것이 아니라, 인턴으로 채용한 후 일정 기간 평가 후 신입사원으로 정식 채용하는 절차를 거칩니다.

  • 채용형 인턴은 정규직 채용의 한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신입사원이란?

  • 신입사원은 공기업이나 회사에 정규직으로 신입 채용된 직원을 말합니다.

  • 채용형 인턴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정규직 채용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채용형 인턴 제도가 많이 도입되어 인턴 평가 후 전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공고에서의 혼란 이유

  • 공고에는 ‘채용형 인턴’을 신입사원 채용 절차의 일부로 명시하는 경우가 많고, 인턴 채용 후 정규직 전환자를 ‘신입사원’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 따라서 공고가 ‘채용형 인턴’ 모집이라고 하면, 인턴으로 채용 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고,

  • ‘신입사원 모집’이라면 바로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경우를 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약

구분

의미

특징

채용형 인턴

인턴십 → 정규직 전환 가능

인턴십 기간 동안 평가 후 전환 여부 결정

신입사원

바로 정규직 채용

인턴 과정 없이 바로 채용

즉, 공기업에서는 채용형 인턴을 통해 먼저 선발하고, 인턴 기간 평가 후 신입사원으로 전환시키는 경우가 많으니 공고를 꼼꼼히 보고 기간과 전환 조건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