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대학 진학 체육교육과에 대해 궁금해서 검색을 해봤는데 특성화 강세 대학 하고 대학교

체육교육과에 대해 궁금해서 검색을 해봤는데 특성화 강세 대학 하고 대학교 이름들이 나왓는데 이말은 특성화 고등학교에 나오면 되는 건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특성화 강세 대학'이라는 표현은 특성화 고등학교를 졸업해야만 갈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이는 해당 대학의 체육교육과가 특정 분야에서 강점이 있거나, 인지도가 높은 편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대학이 "축구 특성화"라고 불린다면, 그 학교의 축구부가 강하고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잘 되어 있다는 뜻이지, 축구선수만 입학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특성화 고등학교'와 '특성화 강세 대학'의 차이

  • 특성화 고등학교: 특정 분야(직업, 예체능 등)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입니다. 일반고와는 다른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입시에서도 특성화고 특별전형이 따로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 체육교육과(일반 대학): 체육 교사를 양성하는 학과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일반고등학교 졸업 후 정시나 수시 전형을 통해 입학합니다.

'체육교육과 특성화 강세 대학'이라는 표현은 주로 해당 대학이 체육 교육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거나, 관련 분야의 커리큘럼이 잘 짜여져 있어 예체능 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체육교육과 입시 준비

체육교육과에 진학하려면 일반적으로 수능(내신), 실기, 면접 등을 종합적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1. 수능 및 내신: 체육교육과는 사범대학 소속이므로 일반 학과와 마찬가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수능과 내신 성적이 필요합니다.

  2. 실기: 대부분의 대학에서 체육 실기 시험을 봅니다. 종목은 대학마다 다르지만, 윗몸일으키기, 제자리멀리뛰기, 던지기 등 기초 체력과 관련된 종목이 많습니다.

  3. 면접: 인성, 교육에 대한 가치관 등을 평가합니다.

따라서 특성화고에 다니지 않아도 충분히 체육교육과에 진학할 수 있으며, 일반고에서 내신과 수능 공부를 착실히 하고, 별도로 체대 입시 학원 등을 다니며 실기 준비를 병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