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친일파 족보 친일파 1세대 2세대는 모두 죽었고 3세대 친일파 뉴라이트가 현제 전성기

친일파 1세대 2세대는 모두 죽었고 3세대 친일파 뉴라이트가 현제 전성기 맞았는데 암적인 존재 3세대가 언제까지 전성기고 4세대는 언제쯤 전면에 나설까요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친일파 세대 구분과 그 영향력 지속 여부는 역사적 사실보다는 사회적 인식과 정치적 해석에 가까운 문제입니다. 따라서 여러 각도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3세대 친일파(뉴라이트)의 형성과 전성기

1. 출현 배경

* 뉴라이트는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 등장했습니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 세력에 반대하거나 비판적 입장을 가진 일부 지식인, 그리고 기존 보수 세력이 이념적 재편을 시도하면서 탄생했습니다.

* 이들은 기존 보수 세력과 달리 ‘시장경제·자유주의·작은 정부’를 강조하며, 동시에 해방 전후사와 건국 서사를 새롭게 규정하려 했습니다.

2. 주요 활동 시기

* 2004년 자유주의연대 출범, 2005년 뉴라이트전국연합 창립은 조직적 기반을 마련한 사건입니다.

*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을 계기로 교과서 개정 논의, 건국절 제정 시도 등에서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이 시기는 뉴라이트가 사실상 전성기에 들어선 시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박근혜 정부 시기까지 일정한 영향력이 유지되었으며, 특히 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에서 뉴라이트 성향 인사들이 중심적 역할을 했습니다.

3. 영향력 쇠퇴

* 2016년 박근혜 탄핵 이후 뉴라이트 세력은 정치적 기반을 크게 잃었습니다. ‘뉴라이트’라는 용어 자체도 부정적 이미지가 강해지면서 최근에는 학계나 언론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추세입니다.

* 따라서 전성기는 대체로 2008년부터 2010년대 초·중반까지로 한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4세대 친일파 가능성에 대한 전망

1. 명확한 정의 부재

* 현재까지 학계나 사회적 담론에서 ‘4세대 친일파’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 따라서 특정 집단을 ‘4세대’로 명확히 규정하기는 어렵습니다.

2. 나타날 수 있는 흐름

* 사회·정치적 갈등이 반복될 경우, 새로운 형태의 역사 왜곡 세력이나 우익 담론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극단적 반공 담론, 특정 정치 지도자에 대한 과잉 충성, 혹은 경제적 엘리트 집단과 결합한 신우익 세력이 그 가능성으로 거론될 수 있습니다.

* 다만 이들이 기존 ‘친일파 세력’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후손 집단인지, 아니면 단순히 역사관을 공유하는 새로운 정치 세력인지는 구분이 필요합니다.

3. 시기적 변수

* 4세대라 할 만한 집단이 전면에 등장하려면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첫째, 정치적 권력과 결합해 국가 정책을 주도할 수 있는 기회를 얻어야 합니다.

둘째, 사회적 갈등 속에서 대중적 지지를 일정 부분 확보해야 합니다.

* 현 시점에서는 이러한 조건이 구체적으로 충족되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4세대의 전면 등장”은 아직 가시화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종합 정리

* 3세대 친일파(뉴라이트)는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을 전후로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박근혜 정부까지 영향력을 유지했으나 2016년 이후 급격히 약화되었습니다.

* 4세대라는 개념은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정립되지 않았으며, 향후 사회적 갈등과 정치적 권력 구조 변화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우익 담론이나 역사 왜곡 시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따라서 3세대의 전성기는 이미 지나갔고, 4세대의 등장은 예측 가능성이 낮은 상태라 향후 정치 환경 변화와 세대 교체 양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핵심 포인트 리스트

* 3세대(뉴라이트)의 형성: 1990년대 말 ~ 2000년대 초반

* 전성기: 2008년 이명박 정부 전후 ~ 2010년대 초반

* 쇠퇴: 2016년 박근혜 탄핵 이후 영향력 급감

* 4세대: 명확히 규정되지 않음, 새로운 우익 담론 가능성만 존재

* 조건: 권력 결합과 사회적 지지 확보가 필요, 아직은 가시적 징후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