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하루 과목 공부량 이제 시험기간이여서 계획을 세우려고 하는데하루에 과목을 몇개씩 해야할까요?두개 이상? 해보려고

이제 시험기간이여서 계획을 세우려고 하는데하루에 과목을 몇개씩 해야할까요?두개 이상? 해보려고 했는데 학원 숙제하느라 하루가 다 지나가서 항상 하루에 한 과목씩만 공부하게 되는데 어떻게 해야하죠ㅜㅜ 그래서 일주일에 한 과목을 한번밖에 못 보는데 해결책 알려주세요ㅜ 이건 뭔가 잘못된 공부법인거같아요

첫 번째, 과목을 쪼개서 ‘조금씩 자주’ 보는 방식으로 전환하기

가장 추천하는 방법은 하루에 최소 두 과목 이상씩, 짧게 나눠서 보는 방식입니다.

한 과목을 길게 잡으면 숙제하거나 복습만 하다가 하루가 끝나고

다른 과목은 아예 못 보고 넘어가는 패턴이 반복되기 쉬워요.

예를 들어 이렇게 나눠볼 수 있어요.

  • 수학: 40분 (문제풀이)

  • 영어: 30분 (단어 암기 + 문법 정리)

  • 국어: 30분 (교과서 지문 독해 or 문법 정리)

이렇게만 해도 세 과목을 하루에 한 번씩은 건드릴 수 있어요.

시간이 부족할 경우 과목 수는 줄이되, 하루에 ‘두 과목은 반드시 하기’ 같은 원칙을 세우면 됩니다.

두 번째는 ‘학원 숙제 = 공부’라는 인식 버리기예요!!

학원 숙제는 시험 공부와 별개인 경우가 많아요.

숙제만 하다 보면 진짜 내가 복습해야 할 단원, 외워야 할 내용은 빠지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그래서 학원 숙제는 시간을 정해놓고 ‘할당된 공부’처럼 처리하고,

진짜 시험 대비 공부는 따로 시간 확보하는 게 핵심입니다.

예를 들면:

  • 오후 6~7시: 학원 숙제만 집중해서 처리

  • 오후 7시~9시: 내 공부 (시험 범위 복습 + 암기)

  • 자기 전 30분: 오답노트나 단어 복습

이렇게 나누면 숙제에 휘둘리지 않고도 내 공부 루틴을 유지할 수 있어요.

세 번째, 주간 공부계획표 만들기

시험기간에는 계획표를 짜는 게 무조건 도움이 됩니다.

막연히 "오늘 공부해야지" 하면 다시 숙제로 끝나요.

그래서 추천하는 건 ‘요일별 과목 분배’예요.

예시:

  • 월: 수학 + 과학

  • 화: 영어 + 국어

  • 수: 사회 + 수학

  • 목: 영어 + 과학

  • 금: 국어 + 사회

  • 토/일: 전과목 복습 + 모의 문제 풀기

이런 식으로 짜두면 ‘일주일에 한 과목을 한 번만 보는’ 일이 줄어들어요.

오히려 시험기간 후반부엔 전 과목을 매일 조금씩 보는 것도 필요해요.

지금 질문자님이 느끼는 이 불안감은 공부를 잘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는 증거고,

방법을 바꾸려는 이 시도가 앞으로 성적을 바꿔줄 큰 전환점이 될 수 있어요.

하루 100분씩만 확보해도 전 과목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