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 준비하시느라 보건증 때문에 헷갈리신 것 같아요. 정리해서 쉽게 알려드릴게요.
1. 보건증 발급 기관
보건소
가장 일반적이고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에요. 발급 후 정부 공식 시스템(공공보건포털, 네이버·카카오 전자문서)에서 온라인 확인이 가능합니다.
일부 병원·검진기관
병원에서도 건강검진을 통해 보건증을 발급해줄 수 있는데, 이 경우는 해당 병원 자체 발급 문서 형태로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왜 병원에서 발급한 보건증은 온라인에 안 뜨나?
온라인 조회(네이버, 카카오톡, 정부24 등)와 연동되는 것은 보건소에서 발급된 보건증입니다.
병원에서 발급받은 보건증은 보건소 시스템과 연결되지 않아서 온라인 조회가 불가능합니다.
3. 병원 보건증과 보건소 보건증의 차이
법적 효력: 동일합니다. 고용주(알바 사장님)에게 제출하면 병원 보건증도 인정됩니다.
온라인 조회 가능 여부: 보건소 발급 → 가능 / 병원 발급 → 불가능
비용: 보건소가 보통 저렴(5천원 내외), 병원은 더 비쌀 수 있음
4. 정리
보건소·병원 둘 다 발급 가능, 효력은 동일
온라인 조회(네이버, 카카오, 정부24)는 보건소 발급 건만 가능
알바 사장님이 온라인 확인 원하시면 보건소에서 발급받는 게 가장 확실
즉, 제출만 하면 된다면 병원 것도 괜찮지만, 온라인으로 확인되는 걸 요구한다면 반드시 보건소에서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 추가로 정리 해났어요.
https://smart-insight119.blogspot.com/2025/08/blog-post_3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