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문과 대학교 좀요 알지도 못하면서...하면서 애한테 뭐라 말을 못하겠써요.다음주부터 내신 대학교를 쓰는데요.내신 2.8~3.3

알지도 못하면서...하면서 애한테 뭐라 말을 못하겠써요.다음주부터 내신 대학교를 쓰는데요.내신 2.8~3.3 정도 나온다고 하더라구요.문과고요.경제학과 나 경영학과 쪽을 생각하나봐요.대학교 내신은 6개 쓴다고 하더라구요.상향부터 하향까지제가 애한테 말할수 있게부탁드립니다.

1. 내신 2.8 ~ 3.3의 위치

  • 전국 기준으로 보면 중위권 정도 성적이에요.

  • 인서울(서울 주요 대학)의 경제/경영 학과는 보통 내신 1~2등급대가 주 경쟁층이라 도전이 쉽지 않아요.

  • 대신 수도권 4년제 대학, 지방 국립대, 지방 사립대 상위권에서는 충분히 합격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지원 전략 (수시 6개 원서)

아이 말대로 상향 ↔ 적정 ↔ 안정으로 나누는 게 좋아요.

  • 상향 지원 (도전)

  • 수도권 중위권 대학의 경영/경제 (예: 인천대, 경기대, 숭실대, 세종대 일부 학과 등)

  • 합격 확률은 낮지만, 혹시나 기회가 있을 수 있어요.

  • 적정 지원 (가능성 있는 목표)

  • 수도권·지방 주요 대학 (가천대, 가톨릭대, 광운대, 아주대, 명지대 등)

  • 아이 내신 구간(2.8~3.3)과 비슷한 학생들이 많이 합격하는 곳.

  • 안정 지원 (안전망)

  • 지방 국립대(강원대, 전북대, 충북대 등)

  • 지방 사립대 중 중위권 대학 (대전대, 동의대, 원광대 등)

  • 합격 가능성이 높아 최소 한두 개는 안전하게 가져가야 합니다.

3. 부모님께서 해주실 수 있는 말씀

  • “네 성적이면 인서울은 쉽지 않을 수 있지만, 수도권이나 지방 국립대는 충분히 가능하다.”

  • “원서 6개 중에 도전도 좋지만, 꼭 안정적으로 붙을 곳도 넣어야 한다.”

  • “경제/경영은 어디 대학을 가든 커리큘럼이 비슷하니까, 학교 이름보다는 네가 거기서 얼마나 열심히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4. 추가 팁

  • 수시가 안 되더라도 정시로는 또 기회가 있습니다. (수능 준비도 함께 하면 좋음)

  • 경제/경영은 취업 진로가 넓으므로, 대학 브랜드보다 학점, 영어, 자격증, 인턴 경험이 더 크게 작용합니다.

정리

아이 성적(내신 2.8~3.3)이라면 인서울은 어려울 수 있으나 수도권/지방 국립·사립 상위권 대학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6장 원서 중 상향·적정·안정 고르게 쓰는 게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