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장기 여행자의 경우 여행자보험은
출국일(2025년 9월 22일)부터 한국 입국일까지를 보장기간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입국일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몇 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1. 예상 귀국일 기준으로 가입
● 현재 예상 귀국일이 2026년 2월이므로,
→ 2025년 9월 22일 ~ 2026년 2월 말일(예: 2월 28일)까지로 기간을 설정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 실제 귀국이 앞당겨지더라도 보험은 자동 종료되므로 손해는 없습니다.
★ 단점: 귀국이 더 늦어지면 보장 공백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여유 있게 긴 기간으로 가입
● 귀국일이 불확실하다면, 2월보다 한두 달 더 여유 있게 가입해두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 2025년 9월 22일 ~ 2026년 3월 31일.
※ 실제로는 귀국 후 자동 종료되니 불필요한 납입은 아니고, 안전장치가 됩니다.
★단점: 보험료가 약간 더 올라갑니다.
3. 중간에 연장 또는 재가입
● 일부 보험사에서는 출국 전 가입만 허용하기도 하지만, 해외 체류 중에도 연장·재가입 가능한 보험사가 있습니다.
● 다만 모든 보험사가 허용하는 건 아니므로, 출발 전에 해당 보험사에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 권장드리는 방법:
▶ 2월 중 귀국이 확실하다면 2025.09.22 ~ 2026.02.29
▶ 그마저 불확실하고, 더 늦어질 수도 있다면 03.31로 넉넉히 설정하시는 게 안전합니다.
▶ 보험료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입국이 지연되어 보장 공백이 생기는 리스크를 피하는 게 더 유리합니다.
▶ 가입 시 "귀국일 변경 가능 여부"와 "해외 체류 중 연장 절차"를 보험사에 확인하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