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도쿄일렉트론 fe 채용 안녕하세요.기계/전기분야 마이스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사람입니다.현재 도쿄일렉트론코리아의 1차협력사로서 고객사의 팹

안녕하세요.기계/전기분야 마이스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사람입니다.현재 도쿄일렉트론코리아의 1차협력사로서 고객사의 팹 내 장비 set-up 업무를 하고있습니다. (TEL의 FE현장업무와 공유) 일본인 엔지니어와 소통도 조금씩 하고, 학창시절에도 일어에 관심이 많았던지라 최근에 JLPT n3을 취득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상황인지라 원청인 도쿄일렉트론코리아로의 이직을 희망하고 있는데, 현실적인 문제들이 많다고 느꼈습니다.우선 최종학력이 고등학교 졸업 인 점, 미필인 점, 지금 하는일에대한 숙련도 부재문제 (일한지 약 6개월) 등 가야 할 길이 멉니다. 채용정보를 찾아보면 공통 지원자격이 '4년제 학사 이상'인지라 군복무 직후 복직과 동시에 사이버대/야간대(재직자)로 관련 학위를 받고 지원할 생각인데, 정보도 부족하고 사회초년생으로서 궁금한 점이 많습니다.1. 셋업업체에서 헤드헌팅(학력 미상)/공개채용을 통해 합격한 사례가 존재하긴 한데, 위와 같은 로드맵으로 합격할 가능성이 있는가? (인서울/지거국과 경쟁에서 경쟁력이 있는가?)2. 그 외 준비할 점이 무엇이 있는가?3. 최종 목표는 도쿄일렉트론코리아의 fe이기에, 관련된 정보4. TEL에 입사하기 위한 마이스터고등학교 졸업자가 따를 로드맵 추천정도가 궁금한 점 입니다. 반도체장비 cs일을 하시는 현직자나 관련업무를 하시는 분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도쿄일렉트론코리아 FE(Facility Engineer) 이직을 목표로 진로 설계를 고민 중인 질문자님.

마이스터고 졸업 → 협력사 SET-UP 업무 → TEL 본사 이직 희망,

그리고 일본어 N3, 현장 실무 경험까지 이미 갖추신 상황,

저는 학생 진로관련 상담을 주로 하고 있고

반도체 장비 관련 업계에서 비슷한 경로를 고민했던 상담을 진행했던 입장에서

질문자님의 현재 위치와 고민이 너무나 공감됩니다.

제 경험상 아래와 같은 로드맵과 준비가 현실적인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1. 현재 상황에서 TEL 본사 FE 입사 가능성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학사 요건 충족 + 실무 능력 + 현장 피드백 + 일본어 능력”

이 4가지 요건을 잘 쌓는다면 도쿄일렉트론 FE 입사는 충분히 가능합니다.

경쟁력 판단 기준:

  • 학력: TEL은 기본적으로 학사 이상을 요구하지만,

  • 실제 현장 경험자나 전문 인력은 경력직 전형에서 학력 완화 적용 사례 존재합니다.

  • 직무 경험: 현재 하시는 Set-up 업무가 TEL FE와 거의 유사한 흐름입니다.

  • → 숙련도를 1년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고객 대응력, 장비이해도를 증명할 수 있다면 큰 장점

  • 일본어 능력: 현장 내 일본인 엔지니어와의 소통은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 N3 이상, 실무 커뮤니케이션 가능 수준이면 상당한 플러스 요인입니다.

  • 군 미필: TEL은 국내 근무지 기준으로는 병역 의무 완료자를 선호하지만,

  • 아직 1~2년 여유가 있다면 복무 중 학위 준비 → 제대 후 경력 이직 루트도 안정적입니다.

2. TEL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현실적인 로드맵

추천 루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1~2년 내 실무 경력 확보

  • 현재 하고 있는 장비 Set-up, 유지보수, 장비 이슈 대응 경험

  • 정리된 포트폴리오 형태로 기록해두세요. (ex. 어떤 장비, 어떤 문제, 어떻게 대응)

  • 현장 리더나 TEL 쪽 담당자에게 긍정적 피드백 받도록 노력하세요.

  • → TEL은 협력사 내부 추천 또는 내부 추천 인재 제도도 활용합니다.

[2단계] 학사 요건 확보

  • 재직자 전형 사이버대/야간대에서 전기·전자·기계계열 학위 취득

  • → 예: 한국산업기술대, 한국방송통신대, 사이버한국외대(일본어 병행) 등

  • 중간에 군복무 계획이 있다면, 복무 중 온라인수업 병행 + 자격증 준비도 병행 가능합니다.

[3단계] 자격증 및 일본어 스펙 강화

  • JLPT N2 이상 or JPT 700점 이상 목표

  • 기계정비산업기사, 전기기능사, 위험물산업기사 등 장비 관련 자격증 준비 추천

  • TEL은 기계/전기 조합형 인재를 우대합니다

[4단계] 이직 포인트 전략 설정

  • 협력사 내부 전환 or 인사 추천 루트: FE로 인정받을 경우 직접 스카우트 가능

  • 공개채용 시점 포착: 보통 하반기 경력직 채용 (8~10월) 중심으로 이뤄집니다

  • 링크드인, 잡코리아, 사람인 등에 경력직/계약직 포지션도 체크

3. 도쿄일렉트론코리아 FE(FE, Field Engineer) 관련 정보 요약

직무 내용:

  • 반도체 제조장비 설치, 유지보수, Troubleshooting, 고객 대응

  • 일본 본사와의 기술 커뮤니케이션도 포함

  • 장비 세팅 ~ 업그레이드 ~ 수리까지 장비 full-cycle 파악 필요

FE 업무에 적합한 인재상:

  • 장비 이해도 + 침착한 대응력 + 해외 출장 가능성 + 외국어 역량

  • 실제 현장 경험 + 서비스 마인드 (고객 Fab 대응 시 매우 중요)

장점:

  • 연봉 상위권 (초봉 4~5천 이상)

  • 해외 출장 기회 (미국, 일본, 대만 등)

  • 기술직이면서도 글로벌 역량을 활용 가능

4. 마이스터고 졸업자가 TEL 입사하기 위한 현실적 로드맵 요약

  1. • 협력사 경험 최소 1~2년 쌓기 (현재 진행 중)

  2. • 사이버대 or 야간대 재학 + 전공 이수

  3. • 군복무 시기에 자격증, 일본어 병행 준비

  4. • N2 이상 / 자격증 / 장비 포트폴리오 확보

  5. • TEL 협력사 인사담당자 및 FE 추천받기 → 추천 입사 시도

  6. • 공개채용 or 경력직 공고에 전략적 지원

위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직접 검색하여 일부 내용을 말씀드렸습니다.

더 궁금한 관련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관련 정보 보러가기]: https://m.site.naver.com/1Qf3W

질문자님처럼 진로 목표가 뚜렷하고 준비도 탄탄한 분이라면

시간은 조금 걸려도 충분히 TEL FE 진입이 가능합니다.

조금씩 차근차근 준비해나가시면, 분명 원하는 자리까지 도달하실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