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분의 진로 고민을 들으니 마음이 많이 무겁고 답답하실 것 같습니다. 클라리넷에 대한 열정과 재능을 스스로 느끼고, 심지어 선생님께도 인정을 받았는데, 환경적인 제약과 부모님의 반대라는 큰 벽에 부딪혀 막막하실 것 같네요. 하지만 절대 쉽게 포기할 문제가 아니며, 지금부터 전공을 위한 현실적인 길을 부모님께 보여드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부모님의 우려를 정확히 파악하고 해결책 제시하기
부모님께서는 크게 두 가지 이유로 반대하고 계신 것으로 보입니다. 이 두 가지 우려에 대해 구체적인 해결책을 준비해야 합니다.
A. "시골이라 가르칠 선생님이 없다"에 대한 해결책
이 부분은 물리적인 제약이므로, 현재의 기술을 활용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합니다. 오빠 분이 대구까지 레슨을 받으러 다니는 상황과 비교하며 말씀해 보세요.
온라인/화상 레슨 활용: 전공생들을 지도하는 서울이나 대도시의 실력 있는 선생님들 중 화상 레슨을 진행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카메라를 설치하여 손가락 움직임과 자세를 보여드리고, 연주를 실시간으로 들려주면서 전문적인 지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거주지의 제약을 뛰어넘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월 1~2회 대도시 집중 레슨: 매일 가기 어렵다면, 오빠 분처럼 정기적으로 주말이나 방학 기간을 활용하여 대도시 선생님께 직접 찾아가 레슨을 받고, 평소에는 이를 바탕으로 독학 또는 온라인 레슨을 병행하는 계획을 제시해 보세요. 이는 진심과 노력, 그리고 준비된 계획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B. "재능이 없고, 오빠도 전공하는데 부담이 된다"에 대한 반박 자료 준비
부모님께서 3년 전의 기억으로 재능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은 학생 분의 현재 실력을 모르시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객관적인 증거 제시:
선생님 추천서 또는 직접 대화: 오케스트라 선생님께 직접 부모님과 통화하거나, 학생 분의 재능을 인정하는 내용의 짧은 편지나 추천서를 부탁드려 보세요. 칭찬에 인색한 선생님의 의견은 객관적인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실력 시연: 부모님 앞에서 가장 잘하는 곡이나 진도 나간 부분을 정식으로 연주해 드리세요. 3년 전과는 확연히 달라진 실력을 직접 들려드리는 것이 가장 확실한 설득 방법입니다.
오빠와의 비교 논리 피하기: 오빠의 전공이 부담이 된다는 말씀은 경제적인 우려일 수 있습니다. '저는 오빠와 달리 재능이 있다'는 식의 비교 대신, '오빠처럼 클라리넷으로도 꿈을 펼쳐서 미래에는 스스로 경제력을 갖출 수 있도록 열심히 하겠다'는 책임감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클라리넷이 전부가 아닌, '전공'의 목표 보여주기
클라리넷을 취미가 아닌 삶의 목표로 삼고 싶다는 열정은 매우 훌륭하지만, 부모님께는 클라리넷을 통한 구체적인 미래 설계를 보여드려야 합니다.
명확한 진로 계획: 클라리넷 전공 후 오케스트라 연주자, 실내악 연주자, 음악 교육자, 또는 군악대 등의 구체적인 진로 방향을 찾아서 말씀드리세요. "그냥 클라리넷을 하고 싶다"가 아니라, "클라리넷으로 이런 직업을 갖고 싶다"고 말씀드리는 것이 부모님의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공부 포기 아닌 병행 의지: 음악 전공은 실기만큼이나 음악 이론, 화성학, 그리고 일반적인 내신 및 수능 성적도 중요합니다. "클라리넷을 하느라 공부를 놓치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세요. 실제로 실력 있는 선생님들은 기본 공부가 뒷받침되는 학생을 더 선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