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드리겠습니다.
1. 네이버 금 계산기 (첫 번째 이미지)
기준: 주로 국제 금 시세 + 환율을 단순 반영한 참고용 계산 값입니다.
즉, "이론적으로 1g당 금 가격 × 금 무게"를 곱해서 보여주는 값이라 실제 매매가격과 차이가 있습니다.
부가세, 가공비, 수수료 등이 반영되지 않습니다.
2. 한국금거래소 시세 (두 번째 이미지)
기준: 실제 국내 금 거래 시 적용되는 현물 시세입니다.
내가 살 때: 부가가치세(VAT 10%)와 가공 프리미엄이 포함된 소비자 매입가
내가 팔 때: 금방이나 거래소에 되팔 때 받을 수 있는 가격 (세공비 제외, 순금 기준)
따라서 네이버 계산기보다 실제 거래 가능한 가격에 가깝습니다.
3.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1) 계산 기준 차이
네이버: 국제 시세 + 환율 기준의 "참고값"
금거래소: 국내 유통 가격 (부가세·수수료·유통비용 반영)
2) 세금/가공비 반영 여부
네이버 계산기: 세금·가공비 제외 → 낮게 나옴
한국금거래소: 실제 사고팔 때 적용 → 높거나 낮게 표시
3) 매수/매도 차이
금거래소는 "내가 살 때"와 "내가 팔 때" 가격이 다릅니다 (스프레드, 즉 거래 마진).
4. 정리
네이버 금 계산기는 "참고용 국제시세 환산값"
한국금거래소 시세는 "실제 현물 거래가 가능한 가격"
즉, 실제 금을 사고팔 때는 한국금거래소 시세를 보는 게 맞습니다.
네이버 금 계산기는 단순 참고용으로만 보시면 됩니다.
첫번째 사신의 우측 상단에 신한은행 누르시면, 부가세 포함 가격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