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적·공식적인 복구 절차와 증거 모으는 방법을 정리해 드릴게요. 따라 해 보시고 원하시면 제가 바로 보낼 수 있는 항소(문의) 문구도 만들어 드릴게요.
1) 지금 당장 하실 일 — 피해확인 & 증거 수집
밴 메시지(오류 코드) 스크린샷 저장 (BAN 6007 포함).
**언제/어떤 계정(플랫폼: EA/Steam/콘솔 등)**으로 접속했는지 기록.
의심되는 계정 탈취 시점 전후의 활동(로그인시각, 장치, IP, 결제내역 등)이 있으면 캡처.
PC·콘솔의 악성코드 검사(안티바이러스, Malwarebytes 등) 결과 스크린샷.
계정 소유 증명(구매영수증, 결제 내역 이메일, 계정 생성일 등) 준비.
(가능하면) 다른 장치로 로그인 시도해서 동일한 밴 메시지가 나오는지 확인 — 하드웨어 밴이면 다른 PC에서도 동일 증상이 날 수 있습니다.
2) 공식 경로로 신속하게 문의하기 (우선순위)
게임 퍼블리셔/운영사 고객지원 접수 (예: EA Help, Apex Legends Support 등)
계정 → 계정 보안(계정 도용) → 밴 관련 문의(appeal ban) 항목으로 접수.
플랫폼 지원 연락
Steam에서 구매한 게임이면 Steam Support, 콘솔(PS/Xbox)이면 각 콘솔 고객센터에도 문의.
문의 시 **“계정이 해킹(탈취) 당했고, 본인이 아니라는 점을 증명하고 하드웨어 밴 해제를 요청”**한다고 명확히 적기.
3) 문의(항소)에 꼭 포함할 내용 — 체크리스트
계정 아이디 / 닉네임 (민감정보는 따로 안내받는 채널에만).
밴 코드(예: BAN 6007) & 스크린샷.
사건 요약: “언제, 어디서, 어떤 상황에서 계정 접속/문제 발생 → 이후 밴 발생”
계정 도용 정황: 비밀번호 변경 기록 없음, 이상 로그인 기록, 결제·설정 변경 등 (있다면 증거 첨부).
본인 소유 증빙: 결제 영수증(구매한 DLC/게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인증 스샷 등.
보안 조치 사실: 비밀번호 즉시 변경, 2단계 인증(2FA) 설정, 바이러스 검사 결과 등.
“해킹으로 인한 부정행위가 아닌 점을 확인해 달라 / HWID 밴 해제 혹은 재심사 요청” 문구.
4) 기대할 수 있는 결과 & 주의사항
결과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입니다. 운영사 정책에 따라 증거가 충분하면 해제되는 경우도 있지만, HWID 밴은 흔히 ‘엄격’하게 적용됩니다.
운영사 조사에 시간이 걸리고, 추가 증빙(로그 등)을 요구할 수 있음.
**우회(하드웨어 ID 변경, 리스토어, MAC/HW spoofing 등)**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적발 시 더 큰 불이익(영구밴, 법적 책임 가능) 발생할 수 있어요.
새 계정 생성으로 우회할 경우 플랫폼 약관 위반이며 계정이 연쇄 정지될 위험이 큽니다.
5) 시스템/보안 조치 (재발 방지)
계정 비밀번호 즉시 변경(강력한 비밀번호).
이메일, 스토어(구매처), 결제 수단 비밀번호·2FA 활성화.
PC 전체 악성코드(멀웨어) 검사 및 시스템 초기화(심각하면 클린윈도우 권장).
사용한 이메일·연결된 계정(Discord 등) 비밀번호 교체.
6) 지원 요청 문구(예시) — 바로 복사해서 붙여 쓰실 수 있음
(운영사 문의 폼에 맞춰 수정해서 쓰세요.)
원하시면 위 문구를 상황에 맞춰 한글 / 영어로 다듬어서 바로 보낼 수 있게 만들어 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