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스토킹 피해 나: 틱톡에 그림을 올리던 계정이 있었는데요, 어떤 분이 와서 “AI

나: 틱톡에 그림을 올리던 계정이 있었는데요, 어떤 분이 와서 “AI 쓴 거 아니냐”라며 시비를 걸었어요. 제가 아니라고 반박해도, 말 대신 나 같은 이모티콘만 보냈어요. 그때는 뭐가 뭔지도 모르고 멘탈이 탈탈 털리면서 심장도 두근거리고 손도 떨려서, 그냥 계정을 삭제했어요. 몇 개월 뒤, 다시 그림 계정을 만들었는데, AI이나? 뮤트? 그런 거 의심 안 받으려고 타임랩스까지 올렸어요. 그런데 그 사람이 또 제 계정을 어떻게 알아낸 건지, 제 영상에 “ㅇㅇ님 복귀하셧내욤”이라고 댓글을 단 거예요. 보자마자 그때 상황이 떠올라서 너무 역겹고 구역질 나서, 모른 척 했는데, 전처럼 똑같이 이모티콘으로만 반응하고, 계속 게시물 하트도 누르고 다른 계정까지 만들어 저를 괴롭히면서 “왜 차단했냐” 난리까지 쳐요. 너무 무섭고 불안해서 잠깐 틱톡도 나갔는데, 이런 식으로 반복되고 있어요. 이런 경우, 스토킹 관련 상담이 가능한가요?

[공식] 법률사무소 로앤이 대표변호사 이유림 입니다.

"답답하고 복잡한 법률상담 친절하게 도와드리겠습니다"

질문자님께서는 틱톡에 그림을 올리는 계정에서 지속적으로 특정 이용자로부터 AI 사용 의혹과 비난, 이모티콘으로 조롱, 계정 추적, 반복적 댓글, 계정 차단 후에도 새로운 계정 생성 등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온라인 스토킹 피해를 겪고 계신 상황입니다.

▪️ 스토킹처벌법의 적용 및 신고 절차

① 온라인상에서 반복적으로 불안·공포를 유발하는 행위는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스토킹처벌법)의 적용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② 익명 계정이라도 반복적으로 연락하거나, 새로운 계정을 만들어 접근한다면 법적 요건을 충족합니다.

③ 증거자료(댓글, DM, 계정정보, 타임스탬프 등)는 반드시 캡처·보관하세요.

④ 가까운 경찰서 또는 온라인 스토킹 신고센터(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를 통해 정식으로 스토킹 범죄 신고가 가능합니다.

신변 보호 조치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민사상 불법행위(손해배상) 청구 방안

① 반복적 괴롭힘으로 인해 심리적 고통을 입으셨다면 민법상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도 청구할 수 있습니다.

② 스토킹 피해로 인한 정신적 피해, 계정삭제 등 구체적 피해 사실을 입증할 수 있도록 기록을 남기시기 바랍니다.

③ 심리상담·진단서 등도 피해 입증에 도움이 됩니다.

▪️ 증거자료 준비 및 제출 방법

① 아래와 같이 필요 증거자료를 준비하셔야 합니다.

증거자료 종류

구체적 내용

피해자·가해자 계정 정보

닉네임, 프로필, 계정 생성일 등

스토킹 행위 캡처

댓글, DM, 이모티콘, 하트 등 반복적 행위의 화면 캡처

피해 일지

스토킹 시작일, 반복 시기, 피해 상황 상세 기록

정신적 피해 증빙

상담 기록, 진단서 등

② 증거자료는 PDF 변환 등으로 보존하시고, 경찰 신고 시 첨부하시면 됩니다.

▪️ 핵심 포인트

스토킹은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강력한 처벌 대상이 되며, 증거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증거를 신속히 정리해 법률적 절차를 밟으시면, 질문자님께서 겪고 계신 불안과 두려움의 고리를 끊을 수 있습니다.

▪️ 질문자님께 드리는 말씀

심적으로 큰 상처와 불안을 겪고 계실 질문자님의 용기에 깊이 공감합니다. 법은 질문자님을 지켜주는 든든한 울타리임을 잊지 마시고, 필요한 절차를 따라 침착하게 대응하신다면 반드시 보호받으실 수 있습니다. 힘든 상황이지만, 절대 혼자가 아니십니다.

"365일 24시간 무료상담 아래사진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