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요
지리 문제네요! 하나씩 정리해서 설명드릴게요
1️⃣ 문장 판단
❌ 틀린 문장입니다.
이유:
북부 아메리카(미국·캐나다 등)는 교통 발달 이후 고소득층이 외곽으로 이동하고,
저소득층은 도심에 남게 되는 현상이 나타났어요.
이를 “도심 공동화(urban blight)” 또는 **“스팔(sprawl) 현상”**이라고 합니다.
즉,
도로·자동차 발달 → 외곽(교외, suburb) 주거 확대
도심에는 빈곤층, 노후 건물, 슬럼화가 진행
따라서 문장의 “저소득층이 외곽으로 확산되었다”는 부분이 잘못된 거예요.
정답: 틀림
️ 2️⃣ 유럽 vs 북부 아메리카 도시 구조 비교
구분 | 도심(CBD) | 중간 지대(내부 주거지대) | 외곽 지대(교외 지역) |
유럽 도시 | - 역사적 건축물 많음 - 고소득층 거주 많음 (전통 중심부 선호) - 좁은 도로, 밀집된 상업지역 | - 중간 소득층 주거지 - 일부 산업 시설 존재 | - 신도시, 공업단지 위치 - 저소득층·이민자 집단이 외곽에 형성되기도 함 |
북부 아메리카 도시 | - CBD 중심의 고층빌딩 밀집 - 상업 중심지 - 낮에는 활발, 밤에는 공동화 | - 저소득층 거주 (슬럼, 낙후 지역) | - 교외(suburb) 발달 - 고소득층, 중산층 주거지 - 넓은 도로·자동차 중심 생활 |
정리 요약
지역 | 도심 | 중간 지대 | 외곽 |
유럽 | 부유층 거주 | 중산층 | 저소득층·이민자 |
북미 | 상업 중심지, 낮에만 붐빔 | 저소득층·슬럼 | 부유층 교외 주거지 (교통 발달로 형성) |
✅ 핵심 정리 문장
유럽 도시: 부유층은 도심에, 빈곤층은 외곽에
북미 도시: 부유층은 외곽에, 빈곤층은 도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