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제사 명절 우선순위 이에요 이제 곧 결혼하는 예비신부입니다..!저희 아빠는 암으로 이년전에 돌아가셨어요 아빠 자식은

이제 곧 결혼하는 예비신부입니다..!저희 아빠는 암으로 이년전에 돌아가셨어요 아빠 자식은 딸인 저 혼자구요..!저희 집안은 제사를 지내고있고, 명절 (추석,설) 외에 기제사를 따로 지내구요저희 아빠는 명절에 조상님들 제사상에 같이 지내드리고 있습니다.제가 아빠 명절제사 때 항상 참석해서 술 따라드리는데이제 곧 결혼을 하면서 시댁 제사를 같이 지내야해요두 집안 모두 풍습이 있는데 저희 엄마는 아빠 제사를 지내는게맞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아요 물론 저도 아빠 제사를 지내는게 효도라고 생각하지만 또 한편으론 시댁 제사에 매번 빠지는것에 난감한 상황입니다어떻게 해야할까요..

결혼하면서 양쪽 제사와 명절을 모두 챙기는 문제, 정말 고민될 만해요. 요즘은 결혼 후에도 부부가 함께 시댁 제사를 지내면서 친정 부모님 제사도 챙기는 방법을 많이 찾아요. 몇 가지 생각해볼 점을 정리해드릴게요.

  1. 우선순위 정하기

  2. 명절 제사는 시댁과 친정 모두 챙기는 게 일반적이지만, 기제사나 제사 날짜가 겹치면 먼저 정해진 날짜(기제사)나 친정 부모님 제사를 우선하는 경우가 많아요. 시댁 제사는 남편과 상의해 다른 날로 대신할 수도 있습니다.

  3. 대리 참석 방법

  4. 꼭 직접 참석하지 못할 때는 부모님께 상황을 설명하고, 다른 가족이 대신 제사상에 참석하거나, 영상 통화로 함께 하는 방법도 요즘 많이 쓰는 방법이에요. 효도는 반드시 직접 옆에서 술을 따라드리는 것만 의미하는 건 아니거든요.

  5. 남편과의 협의

  6. 결혼 후에는 부부가 함께 의논해 서로 부담되지 않도록 일정을 조율하는 게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친정 제사는 본인이 참석하고, 시댁 제사는 남편과 함께 참여하면서 남편이 이해할 수 있도록 미리 설명하는 방법이 있어요.

  7. 장기적인 균형

  8. 처음에는 조율이 힘들지만, 결혼 후 몇 년 동안은 일정 패턴을 만들어 두면 친정과 시댁 모두 부담이 줄고 갈등이 적어집니다.

결국 중요한 건 효도를 표현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고, 무조건 제사상에 직접 서 있는 것만이 아니라 마음과 배려를 보여주는 것도 충분히 의미가 있다는 점이에요. 필요하면 친정 부모님과도 솔직하게 이야기해서, 마음 편하게 조율하는 방법을 찾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