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호텔 예약시 현지 통화 결제 트립닷컴이나 아고다 같은 사이트에서 호텔 예약 할 때원화 결제 대신

트립닷컴이나 아고다 같은 사이트에서 호텔 예약 할 때원화 결제 대신 현지 통화 결제도 할 수 있던데,원화 결제 하는 것과 트래블로그 등의 카드로 미리 환전해 두고 현지 통화 결제 하는 것 중에 뭐가 더 이득인가요?

호텔 예약 시 현지 통화 결제 vs 원화 결제 비교 분석

해외 호텔 예약 사이트에서 결제할 때 현지 통화 결제가 원화 결제보다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DCC(Dynamic Currency Conversion) 수수료 때문인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DCC(해외 원화 결제) 수수료란?

DCC는 해외 가맹점에서 결제할 때 현지 통화 대신 원화로 결제하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3~8%의 추가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결제 방식별 비교

원화 결제의 문제점:

  • 이중환전 구조: 원화 → 달러 → 원화로 2번의 환전 과정​

  • 플랫폼 자체 환율 적용으로 불리한 환율​

  • DCC 수수료 3~8% 추가 부과​

  • 결제 금액과 실제 청구 금액의 차이 발생​

현지 통화/달러 결제의 장점:

  • 단일 환전으로 수수료 절약​

  • 실제 환율 적용​

  • 플랫폼의 추가 마진 없음​

트래블카드 활용 시 고려사항

트래블로그/트래블월렛 등 전용카드 사용 시:

  • 환전 수수료 0원 (100% 환율 우대)​

  • 해외 결제 수수료 없음​

  • 현지 통화로 결제하는 것이 가장 유리​

일반 신용카드 사용 시:

  • 원화 결제: DCC 수수료 3~8% 추가​

  • 현지 통화 결제: 해외 결제 수수료 1~2%만 부과​

플랫폼별 특징

아고다:

  • 원화 결제 시 간편결제(페이코, 네이버페이) 사용하면 DCC 수수료 없음​

  • 일반 카드로 원화 결제 시 DCC 수수료 발생​

트립닷컴:

  • 원화 결제 시에도 DCC 수수료 없음 (국내 PG사 처리)​

  • 현지 통화 결제 시 해외 결제로 처리되어 수수료 발생​

실제 사례

한 여행자가 아고다에서 624.42달러 숙소를 원화로 결제했을 때, 예약 시 789,325원이었지만 실제 청구는 816,000원으로 약 26,000원(3.3%)이 추가 부과되었습니다.​

권장사항

최적의 결제 방법:

1순위: 트래블카드 + 현지 통화 결제

  • 환전 수수료와 해외 결제 수수료 모두 0원​

2순위: 일반카드 + 현지 통화/달러 결제

  • 해외 결제 수수료 1~2%만 부담​

  • DCC 수수료 피할 수 있음

3순위: 간편결제 + 원화 결제

  • 간편결제 시 DCC 수수료 없음​

  • 플랫폼 자체 환율로 인한 약간의 손해 가능

DCC 수수료 방지법

  1. 카드사에 DCC 차단 서비스 신청

  2. 결제 시 통화를 현지 통화/달러로 변경

  3. 간편결제 이용 (원화 결제 시)​

결론적으로, 트래블로그 등의 전용카드로 현지 통화 결제가 가장 유리하며,

일반 카드 사용 시에도 현지 통화나 달러 결제가 원화 결제보다 수수료 면에서 유리합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