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고도근시 안경알 일반적 가격 입니다 -10 디옵터?라고 알고있네요왼쪽이 -10, 오른쪽이 -9 자동차번호판을 읽기위해서 1미터 이상

-10 디옵터?라고 알고있네요왼쪽이 -10, 오른쪽이 -9 자동차번호판을 읽기위해서 1미터 이상 떨어지면 못읽음.안경착용한지 40년정도 되는데 그동안 그냥 안경점에서 맞추면 그냥 쓰고만 다녔지 관심이 없어 질문 올려봅니다.디옵터라는것이 시력 측정 같은데 쉽게 설명이 가능 하시면 조금만 부탁드리며, 저처럼 고도근시 안경렌즈의 일반적 가격이 궁금 합니다. 렌즈가격이라는게 굴절도 메이커등에 따라 많이 다르겠지만 안경점 마다 너무 부르는게 달라서 저렴이든 비싼이든 좀 알고 써야 할거 같아서요.

아마 질문자분은 난시도 같이 있을겁니다.

고도 근시의 경우 난시를 동반하는것이 95프로가 넘기 때문입니다.

없다라면 그나마 다행이구요.

일단 디옵터는 초점 거리분의 역수를 환산한 값입니다.

예를 들어 1디옵터는 초점거리가 1미터인 렌즈입니다.

여기서 볼록렌즈의 경우 + 오목렌즈의 경우 - 가 붙습니다.

이를 이해하는 것보다 소비자 입장에서 설명하는 것이 이해가 더 쉬울것 같아서

다르게 설명해보겠습니다.

간단하게 - 디옵터의 경우 안축장의 길이가 짧아 초점이 내 망막상의 앞에 형성됩니다. 이렇게 되면

먼 곳은 잘 안보이고 가까운 곳은 좀 보이는 근시 상태가 됩니다. 이 -10디옵터는 -10디옵터 만큼 초점을

망막에 가깝게 밀어 주라는 뜻입니다. 내 눈은 먼 곳이 잘 안보이는 눈이다 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여기서 이제 소비자 입장에서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굴절률이 높은 안경 흔히 이야기 하는 압축렌즈를 구매하는 것을 권장할 것입니다.

하지만 안경사가 이해 하기 쉽게 압축렌즈로 설명한 것이지 사실은 압축된 렌즈가 아닌

재질의 굴절도가 다른 다른 재질의 렌즈를 사용 하는 것입니다.

굴절률 표기가 있을 겁니다. 이는 빛이 들어 왔을때 얼마나 빛을 굴절 시킬 수 있는지를 표기 하는 것입니다.

단일 개체가 많이 굴절할 수록 숫자가 높아집니다.

그래서 흔히 보이는 1.56 1.60 1.67 1.74들은 사실 압축도가 아닌 빛을 굴절하는 정도를 표기하는 것이며

재질이 다릅니다. 간단히 알류미늄/ 구리 / 황동 처럼 아예 구성하는 원자가 다르다고 보면 이해가 편합니다.

그렇기에 가격이 달라집니다.

굴절률이 높을 수록 단일 매체의 굴절도가 높아서 빛을 굴절시킬때 필요한 최소 두께도 줄어들기 때문에

옆에서 보았을때 점점 얇아집니다. 그렇기에 미관적으로도 실제 사용하는 쪽으로도 높은 도수는 굴절률이

높은 것을 추천하는 것입니다. 사실상 안경을 지탱하는건 4점 양측 코 양측 귀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이 부분은 몸에서도 가장 얇은 피부를 자랑합니다. 그래서 많은 무게가 들어가지 않도록 권유 하는 것입니다.

이제 가격이 다른 이유를 찾아보면 공장이 어디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똑같은 1.67 1.74라도 중국에서 들어오는 렌즈들은 엄청 저렴합니다.

흔히 6만 5만원 하는 1.67 1.74는 무조건 중국에서 넘어오는 렌즈입니다.

그리고 퀄리티는 한국의 제품보다 좋지 않으며 QC가 재대로 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성능은 나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같은 굴절률이라도 어느나라에서 생산했는가

이 부분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또한 양측면 비구면 처리된 흔히 양비라고 부르는 제품은 컷팅을

앞 뒤로 했기 때문에 같은 굴절률이여도 가격이 더 비쌉니다.

그렇기에 가격이 저렴해도 내가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다면 저렴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다만 가격이라는것은 기본적으로 성능에 비례합니다.

어느 짜장면은 5천원이고 어느집 짜장면은 3만 5천원이라면 각자 이유가 있겠지요

그 차이를 잘 비교하고 소비한다면 만족할만한 시생활이 될 것입니다.

오늘 하루 좋은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