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설비 산업기사와 전자산업기사 둘 다 유용하지만 선택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자동화설비 산업기사는 전기, 전자, 기계 다방면을 배우며, 공기업이나 생산 현장에서 자동화 장비, 모터 제어, 공기압 실린더, 서보모터 등 설비 운영과 유지보수에 강점을 갖습니다. 전기·전자·기계 융합형으로 실무 적용 범위가 넓고 기계 설비와 관련된 직무에 적합합니다. 모터제어 등 검정형에 없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어 더 실무적이라 평가받습니다. 다만 공부량이 다소 많은 편입니다.
전자산업기사는 전자회로, 전자기학, 전자계산기일반, 전자계측 등 전자 관련 이론과 설계·계측 작업에 특화된 자격입니다. 전자공학 계열, 회로 설계 및 전자 장비 유지보수 혹은 전자 관련 공기업 및 제조업 취업에 유리합니다. 과정평가형으로도 취득할 수 있고, 전자 분야에 집중하고 싶다면 적합합니다[3].
추천 기준
- 설비 운영, 생산자동화, 기계·전기·전자 융합직무 희망 시: 자동화설비 산업기사 추천
- 전자회로, 전자 장비 설계, 전자 시스템 분야 희망 시: 전자산업기사 추천
고졸자가 공기업 중 제조, 생산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업무를 목표로 할 경우 보편적으로는 자동화설비 산업기사가 범용성이 있고 실무 활용도가 높아 선호되는 편입니다.
즉, 본인의 관심과 취업 목표 분야에 따라 선택하되, 자동화설비 산업기사가 다방면에서 활용 가능해 일반적 취업 대비로는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