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캄보디아 사기에 속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막 속는사람이 바보다 이런 의도가 아니라 진짜 궁금해서 그런데 엄청

막 속는사람이 바보다 이런 의도가 아니라 진짜 궁금해서 그런데 엄청 못사는 나라에서 대기업 초봉 혹은 그 이상의 돈을 준다는게 말이 된다고 생각해서 지금까지 이런 심각한 일들이 많이 일어난건가요 아님 원래 캄보디아 관련 사건들이 알려지지 않아서 모르고 간건가요?

질문 정말 핵심을 잘 짚으셨어요. 단순히 “속는 사람이 바보다”라는 시선이 아니라,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속게 되는지를 이해하려는 진지한 질문이라는 게 느껴졌습니다. 실제로 많은 피해자들이 겪은 공통적인 이유가 있고, 단지 ‘경솔함’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배경도 있어요.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

✅ 왜 속게 될까? — 주요 원인 정리

  1. 심리적·경제적 유인 구조

  • 피해자 중 다수는 취업난, 불안정한 생계, 학자금·생활비 압박 등으로 인해 "단기 고수익"에 유혹을 느낍니다.

  • 특히 월 400~600만 원 수준의 급여를 제시하는데, 이는 현지 물가와 비교해도 말도 안 되는 금액이지만, 한국에서 최저임금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은 사람들에게 매력적으로 들릴 수밖에 없어요.

  1. 제안이 현실적으로 들리도록 정교함

  • 단순 “고수익 아르바이트” 광고가 아니라, 콜센터·IT업체·고객응대 알바 같은 식으로 실제 있는 직종처럼 꾸며서 사람들을 유혹해요.

  • 면접 절차나 온라인 계약, 비행기 표 예매까지 다 정식으로 진행되니, “정상적인 절차구나” 하고 믿게 됩니다.

  1. 정보 부족 & 언론 후속 보도 부족

  • 처음 이런 일이 불거졌을 때 언론 보도가 있었지만, 대부분은 구체적인 수법, 피해 사례, 구조적 경로까지 상세히 다루지 않았어요.

  • 피해자 입장에서도 ‘수치심’이나 ‘부끄러움’ 때문에 신고나 공유를 꺼리는 경우가 많았고, 이로 인해 사회 전체에 경각심이 충분히 확산되지 못했어요.

  1. 소셜미디어·친구 추천 등 신뢰 관계 이용

  • 특히 피해자의 40% 이상이 SNS DM, 친구 추천, 지인 권유를 통해 처음 접근당합니다.

  • 이미 아는 사람이 “나 다녀왔는데 괜찮더라”라고 말하면 경계심이 낮아지고, 설득력이 생기죠.

  1. 신속한 현지 이동 유도 & 통신 차단

  • 출국 후엔 여권을 빼앗거나 숙소에 격리하고, 핸드폰을 빼앗거나 감시하면서 도망갈 수 없는 환경을 만들기 때문에,

  • 나중에 “이게 사기였구나” 눈치채도 빠져나올 수 없는 구조에 갇히게 되는 거예요.

정리하면

단순히 ‘경솔했다’, ‘말도 안 되는 급여에 왜 속냐’가 아니라,

- 현실의 경제적 불안 + 정교한 사기 수법 + 정보 부족 + 사회적 신뢰 구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속게 되는 겁니다.

이런 배경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것이 결국 더 많은 피해를 막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필요하시다면, 최근 피해자 인터뷰나 실제 유인 수법 사례, 예방 가이드도 따로 정리해 드릴 수 있어요. 도움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말씀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