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희망 카테고리가 너무 다양한 경우 일본과 중국 전반적으로 퉁칠 수 있는 방법은? 대학에서 독일어 전공하고 포도 농사하는 우리 동네 에이스 형님이 2026

대학에서 독일어 전공하고 포도 농사하는 우리 동네 에이스 형님이 2026 주도 카테고리를 언급하며 우리나라, 미국, 중국에서 이런 주도 카테고리를 주목하라고 말해주었는데요,  형님이 오늘 또 추가로 한마디 덧붙였는데 일본도 아주 조금은 관심을 가져야겠다고 하네요, 바뀐 정부가 전 총리였던 아베 정책에 기반한다면 적어도 이번에 바뀐 총리 시대에는 일본 주식 시장도 좋아질 거라고요, 그렇다고 일본의 잘나가는 기업이나 카테고리를 조사해서 이것저것 하기에는 우리나라, 미국, 중국만 해도 너무 가짓수가 많아 어려움이 예상되는데,,,그냥 단순하게 일본의 전반적인 주식시장을 밝게 보는 경우 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형님의 픽을 받은 카테고리는 조선, 방산, AI, 반도체, 원전, 바이오, 2차전지, ESS 였는데요, 각각에 대해 우리나라에 미국에 중국까지 하려니 역시 가짓수가 너무 많아져 어려움이 예상되어서요, 우리나라나 미국 정도는 개별적으로 신경 쓴다는 가정하에,, 중국은 좀 쉽게 하고 싶은데,,그러니까 저 카테고리에서 좀 찾아보니 중국은 AI, 반도체, 바이오에서 좀 두각을 보이는 것 같았거던요, 그렇다고 각각을 모은 카테고리 꾸러미를 하기에는 역시 가짓수가 많아지니,,전반적으로 현재 테크의 시대라 그런가 우리나라도 미국도 중국도 테크 카테고리가 많은데요, 중국은 좀 찾아보니 그냥 몽땅 뭉뚱거려 할 수 있는것이,, 항생테크가 있고 차이나CSI가 있고 이름도 어마무시하게 히얀한 과창판이란게 있던데요,,그리고 중국본토니 홍콩이니 A주,, 뭐 여튼 뭐가 많더라고요, 아마도 우리나라 코스피, 코스닥 미국의 나스닥, S&P, 다우 뭐 이런거라고 예상이 되는데,,,그렇다면 일본도 뭉뚱거려 하나 하고 싶은 것과 유사하게,, 중국도 뭉뚱거려 항생테크, 차이나CSI, 과창판 뭐 이렇게 하나씩 하면 그래도 전반적으로 중국 테크와 함께 중국 내수까지 커버했다 뭐 이럴 수 있을지,,도저히 일본과 중국에 대해 각 카테고리 별로 다 하기에는 너무 무리가 있어 이렇듯 퉁칠 수 있는 게 있으면 이 정도로 적당히 하고,, 본격적으로 세부 카테고리는 국내와 미국 중심으로 하는게 맞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일본과 중국 퉁칠 수 있는 것들 좀 부탁 드려요,,

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현명하게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려는 고민이 돋보입니다. 한국, 미국, 중국, 일본의 다양한 유망 카테고리를 모두 개별 종목으로 관리하는 것은 비전문 투자자에게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핵심 국가(한국, 미국)는 개별 카테고리/종목으로 관리하고, 일본과 중국은 '시장 전체' 또는 '특정 핵심 섹터 전체'를 묶어서 (퉁쳐서) 접근하는 것이 비효율을 줄이고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매우 현명한 방법입니다.

일본과 중국 시장 전반을 쉽게 접근하고 '퉁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중심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1. 일본 시장을 '뭉뚱그려' 접근하는 방법

아베노믹스 계승과 정책 기조 변화로 일본 시장 전반을 밝게 본다면, 개별 종목 대신 시장 전체 지수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단순하고 효과적입니다.

추천 ETF 유형

설명

접근의 의미

닛케이 225 추종 ETF

일본의 대표적인 주가 지수(우리나라의 코스피 200과 유사)를 추종합니다. 일본 전통적인 대형 우량 기업들이 포함됩니다.

일본 경제 전반의 회복과 상승에 베팅. (가장 기본적인 접근)

토픽스(TOPIX) 추종 ETF

도쿄증권거래소 1부 상장된 모든 종목을 포함하는 지수로, 보다 넓은 범위의 일본 시장을 반영합니다.

닛케이보다 더 광범위한 일본 내수 및 시장 전체를 커버.

✅ 국내 투자자의 접근: 한국 증권사에 상장된 Kodex Japan Nikkei 225 또는 TIGER 일본니케이225 같은 ETF를 매수하면 됩니다. (환율 변동을 헤지하는 H형인지, 환 노출형인지 확인하여 선택)

2. 중국 시장을 '뭉뚱그려' 접근하는 방법 (테크 및 내수 커버)

형님의 픽(AI, 반도체, 바이오)이 주로 테크 카테고리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중국 시장은 '테크 섹터'와 '내수/전통 산업'을 조합하여 퉁치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 ETF 유형

커버하는 분야

접근의 의미

항셍 테크 (Hang Seng Tech Index)

질문자님이 언급하신 대로,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 알리바바, 샤오미 등)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중국 테크 산업의 성장에 베팅. (AI, 플랫폼, IT 등 포함)

차이나 CSI 300

상하이 및 선전 거래소의 A주 중 대형주 300개로 구성됩니다. 중국 본토의 대형 내수 기업, 금융, 전통 산업을 커버합니다.

중국 본토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내수 경기 회복에 베팅.

과창판 50 (STAR 50)

상하이 증권거래소의 과창판(科創板, STAR Market)에 상장된 50개 종목으로, 중국의 기술 혁신 기업 (반도체, 바이오, 첨단 기술)에 집중 투자합니다.

중국판 나스닥으로, AI, 반도체, 첨단 제조업 등 정부 주도 성장 카테고리를 직접 커버.

✅ 중국 퉁치기 전략 (2가지 조합 추천)

각 카테고리별로 개별 투자하는 대신, 아래 두 가지를 조합하여 투자하면 됩니다.

  1. 항셍 테크 ETF: 중국 테크 기업의 성장성 확보 (AI, 플랫폼)

  2. 차이나 CSI 300 ETF: 중국 내수 및 전통 산업의 안정성 확보 (금융, 소비재)

만약 형님의 픽(반도체, 바이오)에 더 집중하고 싶다면, 항셍 테크 대신 과창판 50 ETF를 선택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3. 접근 시장 구분 (중국 본토 vs. 홍콩 H주)

중국 투자 시 '본토(A주)'와 '홍콩(H주)' 구분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항셍 테크 ETF: 주로 홍콩 거래소(H주)에 상장된 기업들입니다.

  • 차이나 CSI 300 ETF, 과창판 ETF: 주로 중국 본토(A주) 시장을 추종합니다.

✅ 투자자 입장: 국내 증시에 상장된 Kodex나 TIGER의 중국 관련 ETF를 매수하면, 해당 ETF가 자동으로 본토 또는 홍콩 시장의 종목에 투자하기 때문에, 투자자가 복잡한 거래 방식을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최종 결론:

  • 일본: 닛케이 225 ETF (시장 전반 퉁치기)

  • 중국: 항셍 테크 ETF (테크/IT) + 차이나 CSI 300 ETF (내수/전통) 조합 (성장과 안정성 퉁치기)

이렇게 접근하시면 개별 종목 부담 없이 효율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