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06:41

발리 리조트 보상 청구에 관해서 안녕하세요.발리 여행중에 리조트에 묵고있습니다.오늘이 3박째입니다.발리는 흡연이 자유롭고 저 역시 흡연자입니다.처음

안녕하세요.발리 여행중에 리조트에 묵고있습니다.오늘이 3박째입니다.발리는 흡연이 자유롭고 저 역시 흡연자입니다.처음 체크인할때 리조트에서도 테라스에서 흡연하라고 안내해주었습니다.그런데 재떨이가 없어서 바닥에 버리긴 미안해서생수병을 사용해서 깨끗하게 사용 중에 있었습니다.2일밤을 그렇게 사용하였고 하우스키핑 중에도 그대로 두었었습니다.3일째 저녁에 투어를 마치고 룸으로 들어오니재떨이를 가져다주고 재떨이로 사용하던 생수병을 치워줬더라구요.근데 문제는 제가 냉장고에서 물을 꺼내마시니물 맛이 이상해서 냄새를 맡아봤고재떨이냄새더라구요.청소하는 사람이 재떨이로 사용한 생수병을완전 깨끗하게 닦고 그 안에있는 담배꽁초까지 전부 빼내고 그 병에 물을 채운다음에냉장고에 넣어둔겁니다.......일단 바로 내려가서 직원들이 모두 냄새를 맡고파파고로 번역해서 상황을 설명했고직원들 모두 담배냄새 재떨이 냄새나는걸인정했습니다.청소를 한 직원이 퇴근해서 내일 아침에다시 얘기하자고 하더라구요.인도네시아는 수돗물로 가글도 하지말라고 할정도로수돗물이 더럽다고 합니다. 재떨이 생수통에도 당연히 수돗물을 담아놨겠죠.진짜 화가나고 괘씸합니다내일 아침 호텔 체크아웃 날입니다.어떻게 보상을 요구해야할까요

상황을 보면 **일반적인 실수 수준을 넘어서 “직원의 부주의로 인해 위생·건강 리스크가 직접적으로 발생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특히 발리는 수돗물 자체도 오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재떨이로 사용된 생수통을 씻어 냉장고에 넣어둔 것은 호텔 측의 중대한 관리·위생 실수로 분명히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상 요구가 충분히 가능합니다.

아래에 “실제 해외 호텔에서 문제 발생 시 사용하는 정석 대응 방법”을 번호별로 정리해드릴게요.

1. 내일 아침 체크아웃 전에 꼭 해야 할 일

(이건 ‘증거 확보’ 목적이라 매우 중요합니다)

✔ ① 재떨이로 썼던 생수통 그대로 보관

냄새가 나도 그대로 두고 직원에게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

✔ ② 사진·영상 확보

  • 눈에 띄게 재떨이 냄새 나는 생수병 클로즈업

  • 병을 열었을 때 냄새 맡는 행동까지 영상으로 촬영하면 더 좋습니다.

  • 냉장고 안 배치된 상태가 남아 있다면 그것도 찍기

✔ ③ 직원이 냄새 맡고 인정한 장면은 가능한 한 기록

이미 말씀하신 내용처럼, 인정했다는 사실을

  • 녹음

  • 혹은 문자(카톡), 파파고 번역으로 "yes, it smells like ashtray"처럼 남아 있다면 아주 유효합니다.

2. 호텔 프론트에 말할 때 이렇게 말하세요 (핵심 포인트)

절대 “화를 내는 방식”보다는

“위생 문제 → 건강 리스크 → 호텔 관리 문제”

이 세 가지 논리로 요구해야 합니다.

아래 문장 그대로 보여줘도 됩니다:

✔ 영어 문구 예시 (호텔에 보여주기용)

“This is not a simple inconvenience.

Your staff used my drinking water bottle as an ashtray and then washed it with tap water and put it back in the fridge.

Bali tap water is not safe to drink.

This is a serious hygiene and health issue caused by your staff.

I need an official apology and reasonable compensation.”

(번역)

3. 현실적으로 요구 가능한 보상 (가장 많이 인정되는 순서)

이건 국제 호텔에서도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① 1박 무료 처리 (환불) – 가장 현실적이며 호텔 측이 가장 잘 해줌

3박 중 문제 발생한 날 기준으로

1박 환불을 요구하면 가장 깔끔합니다.

② 음식·스파·룸서비스 등 크레딧 제공

  • 50~100 USD 바우처

  • 조식·저녁 무료 제공

  • 이런 형태도 매우 흔합니다.

③ 공식 서면 사과 + 객실 업그레이드 비용 환불

이미 숙박이 끝나가니 업그레이드는 의미 없지만,

업그레이드 비용을 냈다면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④ 숙박요금 일부 환불

1박 100% 환불이 부담스럽다면

30~50% 환불을 제안할 수도 있습니다.

4. 요구할 때 이렇게 말하면 됩니다

✔ “I request a refund for 1 night due to the hygiene incident.”

— 객실 1박 환불 요구

✔ “If that’s difficult, please offer compensation such as credit or partial refund.”

— 어려우면 대체 보상 요청

이 두 가지 조합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5. 호텔이 거부할 경우 → 즉시 다음 조치

OTA(예약한 앱)로 신고

  • 아고다, 부킹닷컴, 호텔스닷컴 등

  • “위생 문제 / 직원 과실로 인한 건강 위험”으로 분쟁 올리면

  • 호텔 쪽에서 바로 태도가 바뀝니다.

  • (국제적으로 굉장히 민감하게 대응함)

카드사 차지백(결제 취소 요청) 가능

국제 결제는 서비스 불이행·위생 문제로 차지백 인정됩니다.

구글 리뷰 남기기 / 트립어드바이저 리뷰

호텔들은 이걸 가장 무서워합니다.

실제 사진과 냄새 난 생수병 글 올리면

매니저가 바로 연락합니다.

6. 최종적으로 “어떤 보상까지 요구해도 되는가?”

당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수준:

✔ 1박 환불 → 매우 합당

✔ 혹은 50~100 USD 상당 보상

✔ 사과문 + 식사 또는 기타 서비스 제공

✔ 심한 경우 전체 금액의 30~50% 환불까지 가능 (국내외 사례 다수)

정리

  • 재떨이 생수병을 마실 뻔한 상황은 호텔 측의 중대한 위생 사고

  • 보상 요구는 정당

  • 가장 흔한 보상은 1박 환불 또는 상당한 크레딧 제공

  • 증거 확보 + 논리적 설명이 중요

  • OTA 신고 / 차지백까지 가능하므로 압박 가능

상단 광고의 [X] 버튼을 누르면 내용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