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증상이 공황장애 혹은 망상, 그리고 과거 외상 경험(군용트럭 사고 등)까지 복합적으로 엮여 있는 상황이라면, 우선 정신건강의학과(정신과) 전문의 진료가 가장 적합합니다. 공황장애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대표적인 치료법이며, 증상이 심할 경우 조기에 진료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 구체적인 방문 안내를 정리해 드립니다.
어디로 방문하면 좋은가?
정신건강의학과(정신과) 전문의 진료
대형병원(예: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또는 가까운 종합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보유 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클리닉, 정신건강복지센터(무료/저렴한 상담 가능)
각 지역별로 정신건강복지센터가 있으며, 전문가 상담과 치료 연계가 가능합니다.
외래 예약 후 방문: 병원 홈페이지나 전화로 예약 후 동행하여 진료를 받으시면 됩니다.
진료 시 준비할 점
아버지의 병력(과거 외상, 수술, 약물 복용 이력 등)
현재 복용 중인 약(공황장애 약 포함)
증상이 언제부터, 어떤 상황에서 나타나는지 구체적으로 정리
가족(어머니, 본인 등)이 동행하여 증상 설명에 도움을 주면 좋음
추가로 참고할 만한 정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공황장애, 망상, 우울증 등 다양한 정신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 약물치료(항우울제, 항불안제 등), 인지행동치료, 이완요법 등.
치료가 늦어지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생길 수 있으니 조기 진료가 중요합니다.
연락처 및 참고
정신건강복지센터: 국번없이 1577-0199 (전국 어디서나 연결)
대형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각 병원 홈페이지에서 예약 및 문의 가능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02-3010-5114
어머니와 함께 방문하시면, 아버지의 증상에 대해 더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고, 의료진도 가족의 관점을 반영해 치료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버지의 건강과 가족의 안정을 위해 꼭 전문의 상담을 권해드립니다.